2024년의 1월이 엊그제 같았지만 어느덧 12월의 끝을 향해 달려가고 있다.개인적으로 24년도는 최악과 최고의 기억들이 공존하는 한 해였다고 생각한다.(아직 살 날이 더 많지만)그래서 이번 24년도의 기억을 기록하고 더 나은 25년도를 보내기 위해 나의 24년을 돌아보는 글을 작성하려 한다.📝 24년 상반기팀 OKR 달성과정에서의 경험23년 하반기에 스타트업으로 이직을 하고 팀원들의 도움을 받으며 적응하는 시간을 가졌다. 그렇게 24년 1월부터 내가 속한 QA Platform의 OKR 달성에 기여를 하기 시작했다.먼저 플랫폼팀을 소개하자면 총 3명으로 시니어 1명, 본인 포함 주니어 2명이 플랫폼 팀에 속해있었다. 나와 내 동료는 정기배포 QA를 주로 진행, 리더는 타 부서와 업무 일정 조율 및 QA..
안녕하세요 모두 잘 지내셨나요? 어느덧 12월의 끝을 달리고 있고 크리스마스를 기다리고 있네요 🎄모두들 미리 메리크리스마스입니다! 그럼 도서리뷰 시작하겠습니다. ▶︎ 리뷰 도서https://www.yes24.com/Product/Goods/89553345 프로덕트 오너 - 예스24왜 하버드 MBA 졸업생들이 프로덕트 오너가 되려 하는가?프로덕트 오너가 하는 일과 필요한 자질은?지금 글로벌 IT 기업들은 PO 영입 전쟁 중이다!쿠팡의 프로덕트 오너가 말하는,감동적인 서비스www.yes24.com ✔️ 이 책을 읽은 이유는?11월에 읽었던 스크럼마스터에 관한 책을 읽고 이번에는 기획 쪽에 대한 지식을 쌓아보고 싶어 책을 찾아보던 중해당 책이 딱 보여서 고민하지 않고 선택하게 되었습니다.✔️ 이 책을 읽..
🤔 레이턴시(Latency)란?시스템에서 요청을 보낸 시점부터 응답을 받는 시점까지 걸리는 시간을 뜻함주로 데이터 전송 지연, 네트워크 지연을 나타냄낮을수록 빠르고 효율적인 시스템을 의미함✔️ 레이턴시의 예시스트리밍 서비스: 사용자가 영화를 재생하면, 서버에서 영상을 전송하고 화면에 출력되기까지 걸리는 시간이 레이턴시임💡레이턴시와 딜레이(Delay) 차이점레이턴시시스템이 설계적으로 처리하는 데 필요한 고정적인 지연 시간네트워크 전송 거리와 데이터 처리 구조에 따라 결정됨딜레이(Delay)예상치 못한 요인(네트워크 과부하, 서버 오류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추가 지연 시간 Ref.sitehttps://m.blog.naver.com/alamode80/222439499168https://developer...
요즘 IT 직군에서 일을 한다면 아니 요즘에는 애자일, 스크럼 등 이런 단어들을 많이 접하게 되고 실제로 일하는 방식에 녹아져 있습니다.오늘은 제가 스타트업에서 근무하면서 제가 진행했던 회고에 대한 방향성과 실행 경험을 공유하고자 합니다! 🎉 회고는 즐거워제가 근무했던 곳 모두 스프린트가 끝나면 해당 스프린트에 대한 회고를 진행을 했었습니다.사실 저는 스프린트 회고 하는 날이 너무 좋았어요왜나면 그날은 맛있는 음식을 먹고 다들 좋은 이야기를 하는 시간이었거든요그래서 다를 점심에 맛있는 음식을 먹으며 다들 고생했고 이번 프로젝트 진행하면서 이런 부분들이 너무 좋았다. 다음 스프린트도 잘 진행해 보자는 식의 말이 지나고 다들 즐거운 식사를 하는 자리였습니다. 🤦♂️ 회고는 어려워그렇게 스타트업으로 이..
안녕하세요! 다들 잘 지내고 계신가요?벌써 11월의 끝나가고 있고, 24년이 얼마 남지 않았네요나이를 먹을수록 시간이 빠르게 지나간다는 말이 점점 실감이 나네요.. OTL우울한 감정을 뒤로하고 도서리뷰 시작하겠습니다~▶︎ 리뷰 도서https://www.yes24.com/Product/Goods/115143425 출근했더니 스크럼 마스터가 된 건에 관하여 - 예스24스크럼을 만화와 해설로 배울 수 있는 애자일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 입문서이다. 스크럼은 IT 회사에서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방법 중 하나이다. 경험을 기반으로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는www.yes24.com ✔️ 이 책을 읽은 이유는?11월에 읽어볼 책이 무엇이 있나 IT관련 도서를 찾아보던 중 위 책이 눈에 띄었습니다.'스크럼이 마스터..
🤔 오버헤드(Overhead)란?시스템이 작업을 처리하는 데 필요한 추가적인 시간이나 자원을 의미함실제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부가적인 비용을 뜻함프로그램 실행 시, 메모리 관리나 스레드 처리 등과 같은 작업이 성능을 저하시키는 경우 = 성능 오버헤드데이터 전송 시, 패킷의 헤더 정보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추가적인 데이터량과 처리 비용 = 네트워크 오버헤드📌 오버헤드의 예시🌅 인스타그램 스토리 업로드사용자가 사진을 업로드유저의 업로드파일 압축, 해상도 조정, 메타데이터 추가 같은 추가 작업 진행해당 작업을 통해 업로드 속도를 느리게 만들 수 있는 현상이 오버헤드에 해당됨 📑 Ref.sitehttps://velog.io/@yangsijun528/%EC%98%A4%EB%B2%84%ED%97%A4%E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