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는 Selenium + Python으로 웹 UI 자동화를 진행하다 보면, 브라우저 실행 옵션을 설정하는 Options 클래스를 자주 사용하게 됩니다. 창 크기 설정, 팝업 차단 해제 같은 기능들을 사용합니다. 문제는.. 시간이 지나면 까먹는다는.. 😅그래서 저는 이 글을 통해 Options 클래스 종류와 사용법을 정리해서 기록해두려 합니다. 🤔 Options 클래스??Selenium에서 Options 클래스는 크롬, 파이어폭스, 엣지 등의 브라우저를 실행할 때 환경을 커스터마이징 할 수 있는 도구임사용 예시브라우저 창을 열지 않고 백그라운드에서 실행하고 싶을 때브라우저 창 크기를 조절하고 싶을 때시크릿 모드로 열고 싶을 때🔻 자주 사용하는 ChromeOptions 예시from selenium im..
위 글은 웹 UI 자동화 스크립트를 작성할 때 자주 사용하는 메서드를 기억하기 위해 기록하는 글입니다. 😊그럼 어김없이 피.언.감🙇♂️ (피드백은 언제나 감사합니다.)*드라이버는 크롬 드라이버 기준입니다.*✔️ WebDriver.get("url")웹드라이버가 지정된 URL로 브라우저를 이동시키는 메서드이다.from selenium import webdriverdriver = webdriver.Chrome()# 네이버 웹페이지로 이동driver.get("https://www.naver.com") ✔️ WebDriver.implicitly_wait(시간)모든 요소를 찾기 위해 지정된 시간만큼 대기하도록 설정하는 메서드이다.(암시적 대기)from selenium import webdriverfrom s..
driver.find_element_by_xpath('//*[@id="query"]') 이전에 저는 위와 같은 메서드로 코드를 작성했습니다. 하지만 가독성을 좀 높여보고 싶어 아래의 방식으로 작성하려 정리를 해보려 합니다. ▶︎ driver.find_element(By.) 사용하기 driver = webdriver.Chrome('./chromedriver') # ID를 사용하여 요소 찾기 element_by_id = driver.find_element(By.ID, "element_id") # CLASS_NAME을 이용하여 요소 찾기 element_by_class = driver.find_element(By.CLASS_NAME, "element_class") # NAME을 이용하여 요소 찾기 element..
Selenium을 사용하다 보면 가끔 내가 찾는 요소의 좌표가 필요한 경우가 있습니다. 이럴 때 내가 찾고자 하는 Element 좌표를 가져오는 코드를 사용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저는 크롬드라이버를 사용하였습니다. 저는 간단하게 페이지 상단에 있는 로고의 좌표를 가져오도록 해보겠습니다. ▶︎ 요소 찾기 # 요소 찾기 logo_icon = driver.find_element(By.CLASS_NAME, 'Header__LogoIcon') # 찾은 요소에 좌표값 가져오기 icon_location = logo_icon.location # 좌표 값 추출하기 print(icon_location) # 사용해보세요! elem = driver.find_element(By.엘리먼트(예 : Xpath), '속성값 입력') l..
제가 사용한 브라우저는 Chrome Browser를 사용하였습니다. 예를 들어 해당 사이트에서 오늘의 주가를 추출해 보고 싶다면 먼저 해당 숫자의 Element를 알아냅니다. from selenium.webdriver.common.keys import Keys from selenium.webdriver.common.by import By from selenium import webdriver import time import warnings # 사이트 진입 driver = webdriver.Chrome('./chromedriver') driver.get(https://www.kakaocorp.com/page/) #찾아낸 요소로 텍스트 추출하기 kakao_stock = driver.find_element(..
Selenium을 사용하다 보면 가끔 화면에 보이는 엘레멘트를 찾지 못한다는 에러가 발생한다. 이럴 때는 보통 iframe으로 인해 발생하는 경우이다. 해당 문제의 해결법을 정리해보려 한다 🤔 iframe? iframe이란 inline frame의 약자로 쉽게 말해 페이지 안의 페이지이다. 먼저 예시를 확인해보자 사진처럼 일단 iframe 태그에 있는지 확인을 한다. 확인이 되었다면 이제부터 iframe 전환 코드를 사용하면 된다. ▶︎ iframe 전환하기 #iframe 요소로 변경 driver.switch_to.frame("iframe_name_or_id") #iframe 전환이 완료되었다면 프레임 안에 있는 요소들을 찾아 진행을 하면 된다. #예시 driver.find_element_by_id("e..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