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ARRR? 사용자의 서비스 이용흐름을 기반으로 획득(Acquisition)/ 활성화(Activation)/ 리텐션(Retention)/ 수익(Revenue)/ 추천(Referral)이라는 5가지 카테고리를 정의하고 각 카테고리에서 핵심이 되는 지표를 발굴하고 이를 측정/ 개선하는 지표관리 방법론이다. 획득(Acquisition) 이 단계에서는 새로운 고객을 유치하는 방법을 고려한다. 이를 통해 웹사이트 방문자, 소셜 미디어 팔로워, 광고 클릭 등을 확보할 수 있다. 활성화(Activation) 획득한 사용자를 활성화시키고 제품 또는 서비스를 처음으로 사용하게끔 유도한다. 이는 사용자가 계정을 만들거나 초기 상호작용을 의미할 수 있다. 리텐션(Retention) 사용자를 장기간 유지하고 그들을 반복적..
🤔 PoC(Proof of Concept)란? 새로운 프로젝트가 실제로 실현 가능성이 있는지, 효과 및 효용, 기술적인 관점에서 검증하는 과정이다. PoC는 실험적이며 초기 단계의 것이므로 완벽하지 않을 수 있지만 이를 통해 아이디어를 개선하거나 폐기하는 결정을 내릴 수 있다. IT 업계 에서는PoC는 신기술이 적용된 신제품을 직접보고 어떻게 작동하는지를 사전 검증의 개념으로 주로 사용된다. 💡 PoC(Proof of Concept)와 MVP(Minimum Viable Product) PoC(Proof of Concept)는 주로 기술적인 측면을 중심으로 아이디어를 검증하는 실험 단계이고, MVP(Minimum Viable Product)는 실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초기 제품 또는 서비스로서 사용자 피드..
🤔 PDP(Product Detail Page) PDP는 "Product Detail Page"의 약자로, 제품 상세 페이지이다. 커머스 웹사이트나 앱에서 제품을 클릭하거나 선택했을 때 보여지는 페이지를 말한다. PDP에는 주로 [제품정보, 이미지 및 동영상, 재고상태,배송 및 반환정보, 구매옵션,고객리뷰 및 평가]가 포함된다. 💡PDP에서의 비즈니스적 기대는? 구매 유도: 고객이 제품을 구매하도록 유도하는 요소들을 포함한다. 가격, 할인, 제한된 수량 등을 강조하여 구매 동기를 부여한다. 연관 상품 및 권장 상품:고객이 관심을 가질만한 연관 상품이나 권장 상품을 제시하여 추가 구매를 유도한다. 고객 데이터 수집: 고객의 행동 및 선호도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여 마케팅 전략에 활용할 수 있다. 구매 전환..
🤔 PG(Payment Gateway)란? 온라인 상점이 고객으로부터 신용카드나 더욱 다양한 결제 수단으로부터 결제를 받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기술적인 시스템이나 서비스를 의미한다. 💡 일반적인 PG 기능 플로우 결제 정보 수집: 고객이 결제 정보를 입력하면, 이를 수집하고 처리 가능한 형태로 변환한다. 결제 처리: 수집된 결제 정보를 기반으로 실제 결제를 처리하고, 은행이나 결제 네트워크와 통신하여 승인 여부를 확인한다. 결제 정보 보안: 고객의 결제 정보를 암호화하여 보호하고 안전하게 처리한다. 결제 결과 통보: 결제가 성공했거나 실패한 경우 상점과 고객에게 즉시 결과를 통보한다. 결제 데이터 관리: 결제 거래 기록을 관리하고, 환불이나 거래 조회 등의 작업을 지원한다. 📝 Ref.site https..
🔎 CodePush란? 리액트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의 실시간 업데이트를 가능하게 하는 Microsoft사의 오픈 소스 서비스다. 특정 업데이트를 중앙 저장소 역할을 하는 App Center에 JS Bundle과 assets을 업로드하면 모바일 클라이언트는 앱 시작 시마다 업데이트 버전이 있는지 확인하여 동기화한다. 해당 글은 용어에 대한 이해를 위한 글이므로 Code Push에 관한 자세한 정보는 공식문서 를 봐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 Ref.Site https://jake-seo-dev.tistory.com/284 https://tinyurl.com/2dq9dg7m https://tinyurl.com/2xrsz4wt
🤔 롤 백(Roll Back)? 소프트웨어 시스템이 이전 버전 또는 이전 상태로 되돌아가는 것을 의미한다. 트랜젝션으로 인한 하나의 묶음 처리가 시작되기 이전의 상태로 되돌린다. 소프트웨어의 결함, 오작동 또는 예기치 않은 부작용으로 인해 시스템이 안정성을 잃었을 때 사용된다. 롤백은 시스템의 문제를 해결하고 안정성을 회복하기 위한 백업 메커니즘으로 사용된다. 🔎 주로 롤백을 사용하는 경우는? 배포 실패: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나 배포 작업 중 문제가 발생하여 시스템이 예상대로 동작하지 않을 때 롤백을 수행하여 이전 버전으로 돌아갈 수 있습니다 심각한 결함: 실제 운영 중인 시스템에서 심각한 버그나 결함이 발견되면 롤백을 통해 시스템을 안정적인 상태로 되돌릴 수 있습니다. 성능 문제 : 시스템이 예상보다 느..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