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기획서를 보면서 테스트 범위를 선정하다 가끔 정리가 힘들 때가 있다. 뭐 간단한 체크리스트라던가 생각을 정리해보고 싶을 때 Mind Map을 이용해 보는 걸 추천합니다!

출처 : http://ctl.kcu.ac/fsboard/fsboard.asp?id=student_03&mode=view&idx=62&page=1

🤔 마인드맵(Mind Map)?

  • 마인드맵(Mind map)은 마치 지도를 그리듯이, 자신이 여태까지 배웠던 내용이나, 자기 관리 등을 할 수 있는 방법이다. 마인드맵은 계층 구조이며 전체의 조각들 간 관계를 표시하고 정리하는 과정이다.

🔻마인드맵을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7가지 원칙

  1. 종이의 중심에서 시작한다.
  2. 중심 생각을 나타내기 위해 이미지나 사진을 이용한다. (3가지 이상의 색깔)
  3. 전체적으로 색깔을 사용한다.
  4. 중심이미지에서 주가지로 연결한다. 주가지의 끝에서부터 부가지로 연결한다. 그리고 부가지의 끝에서 세부가지를 연결한다.
  5. 구부리고 흐름있게 가지를 만들어라.
  6. 각 가지당 하나의 키워드만을 사용하라.
  7. 전체적으로 이미지를 사용하라.

🔻마인드맵 사용예시

예를 들어 카카오톡에서 친구추가의 대한 코드, 기능이 변경되었다 가정해 보자(예시입니다😅)

저는 마인드앱 프로그램으로 'MindNode'를 사용하였습니다.

  • 친구추가 기능에 대한 분류를 나누고 그 안에서 어떠한 부분이 변경되었는지, 변경에 대한 영향범위를 파악하기 쉽게 된다.
  • '추천 친구' 키워드처럼 바로 체크리스트 형태로 확인을 할 수 있다.

⭕️ 마인드맵을 사용했을 때 장점이라면?

  • 시각화가 편하다.
  • 복잡하고 어지러운 키워드들이 많을 때, 마인드맵을 통해 한눈에 볼 수 있다.
  • 기존 기능에 대한 스펙을 파악하기 쉽다.

마인드맵을 사용했을 때 단점이라면?

  • 너무 많은 부분을 적다 보면 내가 어떤 부분에 대해 중요도를 둬야 하는지 확인을 다시 하게 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 너무 상세하게 작성할 수 없다.

📝 Ref. Site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isHttpsRedirect=true&blogId=ljc8808&logNo=220218656582
https://velog.io/@dahunyoo/MindMap%EC%9C%BC%EB%A1%9C-%ED%85%8C%EC%8A%A4%ED%8A%B8%EC%BC%80%EC%9D%B4%EC%8A%A4-%EC%84%A4%EA%B3%84%EC%9E%91%EC%84%B1%ED%95%B4%EB%B3%B4%EA%B8%B0
반응형

'🔍 QA_Tes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카나리아 테스트(Canary test)?  (0) 2023.05.16
리스크 기반 테스팅  (0) 2023.02.16
더 나은 테스트 케이스를 위하여  (0) 2022.12.20
탐색적 테스팅  (0) 2022.11.28
소프트웨어 테스트 수명주기(STLC)?  (0) 2022.09.30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